전체 글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시 해시의 개념 홍길동의 이름 테이블이 어디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선형 탐색을 사용해야 한다 해시함수를 통해서 인덱스를 찾을수 있다 예시 이름 -> 연락처 홍길동 -> 그 위치에 해당되는 전화 테이블을 참조 이름을 통해서 인덱스를 찾을 수 있다 해시 함수를 통해 배열 인덱스를 찾아간다 해시를 적용한 연락처해시 함수 예시 임이의 키를 해시테이블의 인덱스로 변경해주는 함수해시 테이블의 크기가 N이라면 해시 함수는 0~(N-1) 사이 값을 내야 함충돌을 최소화 할수록 좋은 해시함수 해시함수 나눗셈은 h(x) = x mod k (x는 키, k는 소수) 라고 했을때k로 나눈 나머지는 0~k-1이므로 해시 테이블의 크기는 kk가 소수인 이유는 충돌을 줄이기 위함 (소수가 아니면 k주기로 해시값 반복된.. 스택 / 큐 목차1 스택 설명2. ADT 설명3. 스택 ADT 사용 예시4. 큐의 개념5. 큐 ADT 설명6. 큐 사용 예시 스택 코딩테스트에서 문제을 풀 수 있어야 한다스택/ 큐 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야 한다이 문제가 스택 문제인지 알아야 한다스택 (First in Last out)가장 최근에 들어온 원소를 알 수 있다가장 최근에 들어온 원소순으로 나온다 ADT추상 데이터 타입 약서이다세부 사항을 숨기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기능만 명시요약 : 복잡한 내부구조를 감추고 자료구조에 집중할 수 있다 스택 ADT 사용 예시#includ int main(){stack s;}push : 스택의 맨 위에 원소를 추가예시 1. push를 해서 1을 추가 하면 ( 1 )이 된 상태이다.2. push를 해서 2을 추가 하면 .. 시간 복잡도(Time Complexity) 시간 복잡도목차 순서 1. 알고리즘 이란?2. 알고리즘 성능측정법 및 시간 복잡도 개념3. 시간 복잡도를 빅오 표기법으로 표기하기4. 코딩 테스트에서 꼭 알아둬야 할 시간 복잡도5. 실전 예시 시간 복잡도란?알고리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입력 크기에 따른 연산횟수를 의미한다시간 복잡도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다 알고리즘이란?이론적인 내용 유한한 수의 규칙에 따라 구별 가능한 기호들을 조작하여 입력 정수에서 출력 정수를 생성하기 위한 일반화된 작업을 정의 1. 정밀성 : 변화하지 않는 명확한 작업 단계를 가져야 한다.2. 유일성 : 각 단게마다 명확한 다음 단계를 가져야 한다.3. 타당성 : 구현할 수 있고 실용적이어야 한다. ( 알고리즘의 성능)4. 입력 : 정의된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5.. 이전 1 다음